커뮤니티 - 이벤트, TV ON, 매거진
커뮤니티매거진게시글

매거진

책 읽기는 잘하는데, 말하기로는 이어지지 않는 이유와 방법! by 맘위드 제시쌤 [매거진 #42]

관리자 | 25.09.24 | 102





아이 영어교육에서
가장 자주 듣는 고민이 있습니다.
“책은 참 잘 읽는데, 왜 말을 안 할까요?” 🤔

읽기를 통해
아이는 언어를 머릿속에 차곡차곡 쌓지만,
정작 입 밖으로 꺼내는 건 또 다른 단계입니다.
그 이유는 단순합니다.
환경이 마련되지 않아서입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






읽기와 말하기 사이,
왜 다리가 필요할까?



언어습득 이론은
이 과정을 명확하게 설명합니다. 
크라센(Krashen)의 입력 가설에 따르면 
아이가 충분하고 이해 가능한
입력을 받는 것은 필수적이지만, 
그 자체로 말하기가
저절로 나오지는 않습니다. 

스웨인(Swain)의 출력 가설은 
실제로 언어를 꺼내어 말하는 경험, 
즉 출력(Output)이 있어야 
언어가 자기 것이 된다고 강조합니다.

또한 비고츠키(Vygotsky)의
사회적 상호작용 이론
은 
언어 발달이 혼자만의 활동이 아니라 
상호작용 속에서 촉진된다고 설명합니다. 

결국 책 읽기는 입력을 담당하지만, 
말하기라는 출력으로 이어지려면 누군가 
다리를 놓아줄 환경이 필요하다는 것
이죠.








엄마가 모든 환경을
만들어야 할까?



많은 부모님들이
이 지점에서 부담을 느낍니다.
매일 영어 환경을 엄마가
직접 세팅해야 할 것 같기 때문입니다.

하지만 꼭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.
환경은 원어민처럼 완벽하게
대화하는 상황만을 뜻하지 않습니다. 
오히려 작고 일상적인 장치들이 모여 
아이가 자연스럽게
입을 열 기회를 만들어 줍니다.








일상 속에서
활용할 수 있는 작은 장치들



① 온라인 리딩 프로그램
온라인 프로그램에서
원어민 음성 듣기, 따라 읽기, 녹음 기능은
아이에게 자연스러운 발화 경험을 제공
합니다.
엄마는 발음을 고쳐줄 필요 없이
“잘했어” 한마디면 충분합니다.
입력과 출력을 동시에
경험할 수 있는 간단한 환경이지요


② 낭독(Reading Aloud)
책을 큰 소리로 읽는 것만으로도 
아이는 Output을 경험
합니다. 
브루너(Bruner)의 ‘Scaffolding(발판)’처럼 
혼자서도 할 수 있는 기초적인 발화 활동이며, 
발음을 교정하지 않아도 
꾸준히 하는 것 자체가 의미
있습니다.


③ 짧은 생활 루틴
“Good night”, “Wash your hands”처럼
짧고 반복되는 표현들은 맥락 있는
언어 사용을 가능하게 합니다.
이런 반복은 장기 기억으로의 전환을 돕고,
아이가 무의식적으로
영어를 꺼내도록 만듭니다.


④ 오디오북·영상
원어민 발음을 들으며
곧바로 따라 하는 활동은
듣기와 말하기를 자연스럽게 연결합니다.
엄마가 “같이 말해볼까?”라는
작은 제안만 해도
충분히 출력 환경이 만들어집니다.


⑤ 화상영어
준비가 된 아이들에게는
화상영어도 좋은 무대가 됩니다.
다만 충분한 Input이
전제되어야 효과적
입니다.
책과 프로그램을 통해 쌓아둔 표현을
실제 대화에서 꺼내 쓸 수 있고,
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으며
자신감을 키울 수 있습니다.








부모가 기억해야 할 점


언어 습득에서 중요한 건
정확성이 아니라 유창성
입니다.
크라센의 정서적 필터 가설이 말하듯,
긴장과 불안은 언어 습득을 막습니다.

아이가 작은 표현이라도 시도했다면
그 순간을 놓치지 말고 반응해주는 것,
그것이 학습의 동력
을 만들어줍니다.

따라서 완벽하게 고쳐주거나
문법이 틀렸다고,
발음이 틀렸다고 지적하기보다는
자연스럽게 영어를 발화하고
즐기는 안정적인 분위기
를 만들어주세요.

낭독을 할 때도 영어로 뭔가 표현할려고 할 때
아이들이 느끼는 편안함이 아주 중요합니다.








책 읽기는 영어 학습의 기초를
다지는 입력 단계
입니다.
하지만 말하기로 이어지려면,
아이가 입을 열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합니다.

그 환경은 거창하거나
완벽할 필요가 없습니다.

온라인 프로그램, 낭독,
생활 속 루틴, 오디오북,
그리고 화상영어까지.

이 소소한 장치들이 모여, 아이의 책 읽기는
조금씩 자연스럽게 말하기로 확장됩니다.

읽기와 말하기를 잇는 다리는 크고
특별한 무대가 아니라, 
일상 속에서 반복되는 작은 순간
들입니다.





📣제시쌤 다른 글 보기 (CLICK!) 
✅ 영어리딩 문장 반복이 만드는 놀라운 변화
✅ 파닉스 학습 시작 전 짚어야 할 것들은?
✅ 영어 싫어하는 아이 설득법!
✅ 엄마표 영어를 시작하기 전 고려사항은?
✅ 그림책을 펼쳤을때, 아이영어는 시작된다!
✅ 엄마표 영어 효과적인 방법은?
✅ 아이 영어학습 동기 높이는법
✅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영어노출하는 방법



top_btn